📸로드 밸런싱 구현 완료
- Docker Compose + Eureka + Gateway를 통해 Spring Boot 서버 인스턴스를 추가하여 로드밸런싱 구현
- 아래 로그에서 요청이 각각 다른 인스턴스에서 처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
※이미지에서 로그 시작점과 종료점 확인


💥메모리 터짐
- 로드밸런싱 전 한계 스펙 테스트 다시 돌렸더니 메모리 97% 차지
- docker 활성 메모리가 부족할 거라 판단하여 local메모리 확인해보니 local메모리도 97% 차지
- cpu, disk 는 정상, 테스트 성능 심각하게 저하

🤔현실적 고민
"개발자 PC 환경에서 MSA 테스트의 한계를 확인했습니다. 구현은 완성했지만 성능 테스트는 물리적 제약이 있네요. 실무에서는 이런 상황 어떻게 해결하시나요?”